- 이탈리아관광청, 이탈리아의 올리브 오일 세계로 떠나는 여행 '올리브 투어리즘'
- 홍신애와 떠나는 이탈리아 부르게스타 클래스 여행
[디스커버리뉴스=정기환 기자] 지난 13일 이탈리아 관광청에서는 이탈리아 무역공사와 함께 '전채 요리의 여왕, 브루스케타' 세미나를 강남 가로수길 소개 하이스트리트 이탈리아 3층에서 진행하였다.
이날 세미나에선 이탈리아 관광청 김보영 대표와 현 이탈리안 레스토랑 솔트의 대표인 '요리연구가 홍신애 강사'가 함께 이탈리아 안티파스토(antipasto:전채요리) 브루스케타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을 설명하고 요리 시연 및 체험의 시간을 갖었다.
먼저 이탈리아 무역공사(ITA) '페르디난도 구엘리(Ferdinando Gueli)' 하이 스트리트 이탈리아 관장은 "이번 안티파스토(antipasto:전채요리) 브루스케타는 피에몬테, 토스카나, 깜파냐, 시칠리아 등 각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는 브루스케타의 레시피를 유명 요리연구가 이제 이탈리아 전문 쉐프인 홍신애 대표와 함께 알아보고 직접 만들어 시식해 볼 수 있는 기회라며, 모쪼록 좋은시간되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이탈리아관광청 김보영 대표가 이탈리아의 '안티파스토(antipasto:전채요리) 브루스케타'에대해 "오늘 준비된 부르스케타가 이탈리아 요리의 기장 기본이되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하며, 여기에 첨가되는 올리브오일 같은 경우에는 그 전채요리에 들어가는 가장 필수 요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이탈리아 올리브오일이 어떻게 잘 기회가 되고 이탈리아 관광을 했을 때 올리브하고 어떻게 접목하여 관광을 시킬 수 있는지 제가 간략하게 설명을 하려한다"라고 시작하였다.
이어, "유네스코에서도 이 지중해식단이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가 되어 있을 정도로 굉장히 건강한 지중해의 식단으로 중요하고 유명한데 이탈리아에서 메디터라미한 다이어트를 가장 기본으로 구성하고 이제 이탈리아 오일이 어디서 재배가 되고 그래서 토양과 어떤 품종인지를 확인 할수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른 와인이나 다른 식재료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등급이 존재하며 D.O.P I.G.T이고 그리고 이 I.G.T하고 D.O.P가 이탈리아에 분포된 걸 보면 42개하고 한개 정도가 있는데 시칠리아 강가 풀리아, 라치오, 토스카나등과 아래 남쪽으로 많이 분포되었는데 이탈리아가 올리브 재배를 적용한 이유는 당연히 따뜻한 대륙성 기후 때문이기도 하고 올리브 자체가 식단을 구성하는 게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이런 올리브가 투어 이때 중요한 이유는 식재료뿐만 아니라 희소리컬 사이트하고도 굉장히 근접하다. 그렇다면 전역이 올리브 재배에 80% 보시면 거의 전부에 치중이 되어 있어서 풀리아라든가 칼라브리아등의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가 되고 있다"고 했다.
더불어 "이 칼라상은 진짜 올리브의 에 대해서는 진심이어서 올리브 전문가 양성 과정도 당연히 소믈리에처럼 있고, 올리브 색깔을 감별하는 그런 전문가 양성을 올리브 투어리즘이라고 하는데 이 올리브 투어리즘이 또 다시 대두가 되면서 이제 관광청에서도 이 사이트하고 전문가들하고 같이 협업해서 만든 콘텐츠가 굉장히 많다"고 덧붙였다.
이어, "올리브 투어리즘이라고 있는데 올리브유를 같이 시음하고 경험하면서 어떤 투어를 할 수 있는지를 이제 오퍼를 하는 사이트도 있는데 이 사이트를 보면 올리브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약 174개의 도시에 전체적으로 분포가 되어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탈리아에서 쓰이는 "스타다가란 말의 어원은 원래 '스트리트'라는 말인데 이말은 어떤식으로 와인이 어떤 길을 따라 있는지를 알려주는 저마다의 '타다'가 있다는걸 말하는 것이다. 이처럼 올리브 역시 쌓아 올려야 할 엑스라벌징이 따로 있다. 해서 이런 진표 카테고리를 가지고서 여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프라토이라고 나오는데 프라토이는 올리브가 와이너리하고 마찬가지인 뜻으로 올리브가 재배가 돼 나중에 수확이 돼서 이런 축제를 연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이 와서 보기도 하고 같이 어울려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고 이렇게 부르스게스타 위에다 올려가지고 각종 음식을 시식도 하는 그런 마을 축제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여러분도 앞으로 이탈리아를 여행 했을때 이번 세미나에서 자세히 소개한 올리브와 올리브유를 활용하여 각기 좋은 투어를 기획하여 진행했으면 좋겠다"라고 이탈리아의 올리브 오일 세계로 떠나는 여행 '올리브 투어리즘'을 마무리 하였다.
이어서, 현 이탈리안 레스토랑 솔트의 대표이자 요리연구가 홍신애 강사와 '전채 요리의 여왕, 브루스케타' 시연에 피에몬테, 토스카나, 캄파냐, 풀리아, 시칠리아/칼라브리아 대해 설명과 체험 시식을 위한 시연의 시간을 갖었다.
홍신애 강사는 "브라보 그리고 딜리셔스라고 하면서 이탈리아는 그 지역색이 있고 지역마다 너무 좋은 그런 식재료가 많다. 이탈리아 올리보일은 서쪽에서 많이 나는 거하고 남쪽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피에몬테가 있다. 오늘의 주제인 '브루스게스터'가 뭐냐하면 빵 위에 뭔가를 해서 같이 먹는 것이다. 원래는 빵에다가 올리브오일과 소금,후추를 얹혀 주면 브루스케타이고 여기에다가 또 각 지역별로 이렇게 생산품을 얹어서 만들 수 있는 것들을 다 브루스케타로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전채 음식 시연 시간에는 "올리브 타피아드가 블랙 올리브로 만든 것이고 잣하고 마늘하고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서 올리브유랑 갈아서 만든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약간 쌈장 같은 것이다. 이게 풀리야 지방엔 올리브가 엄청나게 유명한데 남부 와인의 특징이 또 향이 좋은데 올리브 또한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은 미리 만들어온 앞서 설명한 소스와 더불어 이 바게뜨빵에다 알마늘을 빵에다 직접 문질러 발라준다. 기본적으로 이탈리아도 마늘을 많이 사용하고 마늘을 갈아서 뭔가를 얹어서 먹는다. 그리고 토마토도 다 이스해 놓았는데 사실 토마토가 다 들어가는 건 아니지만 오늘은 이 토마토를 활용한 여러 가지를 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약간 남부쪽으로가는 그런 렌트를 토마토를 이용해서 만들건데 또, 패스트 미리 만들어왔다. 바질을 잣하고 치즈하고 소금 후추 좋은 올리브오일을 해서 갈아서 향이나는 황채소를 갈거나 해서 피에몬테 뷰텔라를 만들어 볼것이다"라며 음식 시연을 진행했다.
이날 세미나는 시간상의 관계로 나머지 여러 전채 음식들은 홍신애 강사가 쉐프들과 미리 준비해서 시식을 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홍신애 강사는 앞선 피에몬테에 이어 레지아로 치즈를 설명하였는데 "화가단의 치즈 중에서 조금 더 숙성이 많이 된 것이고 숙성에 차이도 있지만 원유의 차이도 있고 방법의 차이도 있고 방법데 따라 엄청나게 맛이 다르다. 해서 오늘 조금씩 잘 한번 얻어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주어진 시간이 모자르니 일단 이 부분은 올리브랑 같이 산다 엘레햄으로 만들어와서 이것도 먼저 나눠줄것이다. 내가 카프라제를 만들 때 올리브오일을 엄청 넣었다. 그래서 따로 필요는 없을 했지만 약간 필링 오일이 더 필요하신 분들은 저희가 뿌려줄것인데 중요한건 지금 이 오일은 유기농인데 이게 토스카나 지역에서 만들어 진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홍신애 강사는 "가장 많이 먹고 제일 많이 활용했던 것 중에 하나는 뭐냐하면 자기들이 어떤 것 인지 확인을 하려고 할 때 제일 많이 해 먹었던 게 '부르게스타' 이다. 올리브 농사하는 사람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음식인데 이게 지금은 발전을 해서 굉장히 여러 가지 토핑이 올라가는 형태로 조금씩 더 많이 업그레이드가 된것이다. 각자 지역에 있는 그런 재료들을 많이 활용을 하는 것이고 로컬 재료들을 갔다 쌓아서 만들면 되고 더 많이 화려하게 만드는 부루게스타가 많다. 그렇게 이런 좋은 재료들을 조합을 해서 빵위에 얹으면 최고의 전체 요리인 브루스케타가 된다"고 이탈리아 음식 시연을 마무리 하였다.
또한, 이번 올리브 및 부르케스타 세미나 행사 후에는 참가자 전원에게 이탈리아 웰컴 기프트(우드도마+메이드 인 이태리 가공식품 1종)를 증정하였다.
<정기환 기자 jeong9200@discoverynews.kr>

